무대 예술 전문인/무대음향 51

[무대음향] [4장 오디오 믹싱 콘솔] 2021년 제 23회

[2021년 제 23회 무대음향 3급&2급&1급]   모두 AC 교류 출력이다.다이나믹 마이크는 기본적으로 2mV의 출력 전압프로용 장비는 기본 출력이 +4dBu 최대는 +24dBu까지 가능Output 단자이기 때문에 팬텀파워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팬텀파워가 입력되는 곳.팬텀파워는 XLR 핀 1번을 기준으로 핀 2번과 핀 3번에 같은 DC 48V 전압이 출력된다. 트레숄드 -20dBFS / 레시오 5:1 / 입력 레벨 -10dBFS=> -18dBFS + 메이크업게인 +3dB = -15dBFS

[무대음향] [3장 마이크로폰] 2021년 제 23회

[2021년도 제 23회 무대음향 3급&2급&1급]         콤필터 왜곡 comb filter distortion 하나의 소리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사되어 두 소리가 합쳐지면서 주파수 특성이 빗살모양으로 나타나는 주파수 간섭현상을 말한다. 콤필터 왜곡은 일반적으로 10ms이내의 반사음에 의해 지각된다.10~30ms의 반사음은 선행음 효과로서 작용하고, 50ms 이상의 반사음은 에코로 지각된다. 1) 원음과 반사음이 짧은 시간차를 두고 합쳐지는 경우2)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마이크로 똑같은 소리가 수음될 때 두 마이크 거리차(시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  맥놀이 현상 beat 비슷한 주파수의 소리가 서로 만나서 하나의 소리로 합쳐지면서 진폭이 주기적으로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상호 간섭 현상.이 ..

[무대음향] [2장 디지털음향] 2021년 제 23회

[2021년 제 23회 무대음향 3급]  지터 jitter: 클럭의 오류로 인한 원음의 손실.A/D 변환의 표본화(샘플링) 과정에서 시간 단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샘플링 클록이라고 하는데, 표본화에 사용되는 기본 클록 신호에서 발생하는 시간적 오류를 지터라고 한다. 지터는 오디오 재생을 중단시키거나 클릭 노이즈 발생 또는 음질 손상에 원인이 될 수 있다.  워드클럭: 샘플 워드의 처리 빈도를 결정하는 샘플링 레이트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이며, 각 샘플 워드의 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Clock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신호를 샘플링 한다. 오차범위가 ns(나노세크) 단위, 클럭이 정확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필요하다.  타임코드 time code: 비디오 장비와 오디오 장비를 연동하기..

[무대음향] [1장 기초음향] 2021년 제 23회

[2021년 제 23회 무대음향 3급]      최소 가청 한계: 음의 파동이 전달되어도 인간이 듣고 소리라고 느낄 수 있어야 음이라고 할 수 있다.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음압 10^-12 (10의 -12승) 음향와트인 0dB(SPL)을 최소가청한계라 한다. 최대 가청 한계: 인간이 고통을 느끼는 가장 큰 음압 1음향 와트인 120dB(SPL)을 최대가청한계라 한다.   귓바퀴 : 소리를 모으며 공간 음향을 지각하는 데 중요한 역할, 귀를 보호외이도 : 귀 내부로 소리를 유도하는 통로고막까지 전달된 소리는 고막에 의해 진동으로 바뀌며 진동은 세 개의 뼈로 이루어진 이소골에 의해 내이의 와우각으로 전달된다. 진동은 와우각 안의 섬모에서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소리를 지각하게 된다.  골전도..

[18장 국악이론] [무대음향1급] 판소리

[2021년 23회 무대음향 1급] 33. 판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소리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특수한 행위를 벌이는 장소를 의미하는 '판'과 '소리'라는 낱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이다. 2) 판소리는 부채를 든 한 사람의 창자(소리꾼)가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소리,노래), 발림(말), 너름새(몸짓)를 섞어가며 공연한다. 3) 판소리의 종류에는 단가(본격적인 판소리 창을 하기 앞서 부르는 짧은 노래), 판소리, 병창(악기 연주와 함께 부르는 노래) 등이 있다. 4)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현재까지 전하여 내려오는 다섯 개의 작품은 , , , , 이다. [2021년 23회 무대음향 1급] 3. 민속악이 아닌 것은? 1) 산조 2) 판소리 3) 단가 4) 풍류 판소리 창자가 고..

[18장 국악이론] [무대음향2급] 우리나라 악기 : 국악기

[2021년 23회 무대음향2급] 14. 6개의 줄을 술대로 내리쳐 연주하는 악기는? 1) 가야금 2) 거문고 3) 슬 4) 아쟁 [2021년 23회 무대음향2급] 27. 가야금의 연주 기법 중 하나인 농현에서 '끌어내리거나 꺾는 소리'를 뜻하는 것은? 1) 요성 2) 퇴성 3) 추성 4) 전성 [2021년 23회 무대음향 3급] 답은 4번, [2021년 23회 무대음향 3급] 3. 국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양의 오카리나와 비슷하고 속이 빈 복숭아 모양을 한 훈은 문묘제례악에 편성되는 악기이다. 2) 해금은 찰현악기로 분류되지만, 소리를 길게 끌 수 있다는 점에서 관악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3) 제례음악은 보통 대뜰 위에서 연주하는 등가와, 대뜰 아래에서 연주하는 헌가의 2개 악대로..

[18장 국악이론] [무대음향 2급] 국악에서의 12율

[2021년 23회 무대음향 2급] 3. 국악에서는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으로 나타낸다. 이것을 지칭하는 용어는? 1) 12음 평균율 2) 12율 3) 12장단 4) 12박형 [2021년 23회 무대음향 1급] 2.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구음보는 악기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로 기록하는 악보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장구 소리를 '덩, 쿵, 덕, 더러러, 기덕' 등으로 기록하는 구음법이 있다. 1) 육보 2) 율자보 3) 정간보 4) 합자보 12율 : 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 중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가리키는 말 12율의 각 음 사이의 간격은 서양음악의 반음 즉 단2도에 가깝다. 12율명 황종, 대려, 태주, 협종, 고선, 중려, 유빈, 임종, 이칙, 남려, 무역, 응종 1..

[무대음향 2급] 우리나라 소극장의 역사

[2021년 23회 무대음향 2급] 33. 우리나라의 소극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58년에 을지로 입구에 문화공보부가(현재의 문화체육관광부) 개관한 원각사는 우리나라 소극장의 효시이다. 2) 1969년에 개관한 카페 테아트르는 '차와 연극'을 캐치프레이즈로 프랑스 상징주의 연극을 특징으로 상연하였다. 3) 1969년에 개관한 에저또 소극장은 팬터마임과 가두극의 산실로 강한 실험성을 가진 작품들을 주로 상연하였다. 4) 1974년에 개관한 민예 소극장은 전통과 현대의 조화라는 극단의 신념을 가지고 창작극 위주의 공연을 상연하였다. [2021년 23회 무대음향 3급] 51. 1966년 무대미술가 이병복, 연출가 김정옥 선생님에 의해 창단되어, 우리나라 소극장 운동의 새바람을 일으킨 극단..

[18장 국악이론] [무대음향 2급] 한국 전통 탈놀이

탈놀이 연기자가 등장 인물이나 동물 또는 신을 형상화한 가면을 쓰고 등장하여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연극, 가면극, 탈춤 한국 탈놀이(가면극)의 기원에 대해서는 농경의례설, 기악설, 산대희설의 세 가지가 논의되어 왔다. 고구려의 무악, 백제의 기악, 신라의 처용무와 오기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륙에서 전래된 산악백희가 향악화되고, 고려의 산대잡극으로 이어지며, 조선 전기에는 사찰기악의 민속극화가 이루어졌다. 조선 전기까지의 각종 가면희가 선행예능으로 참여하면서 조선 후기,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현전하는 것과 같은 산대도감극의 드라마가 정립되었다. 산대도감극이라는 명칭은 조선 전기 궁중의 나례 (잡귀를 쫓기 위해 베풀던 의식)를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나례도감이나 산대도감의 관장 아래 있으면서 산대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