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예술 전문인/무대음향

[18장 국악이론] [무대음향2급] 우리나라 악기 : 국악기

장순열 2024. 3. 26. 17:57

 


[2021년 23회 무대음향2급]

 

14. 6개의 줄을 술대로 내리쳐 연주하는 악기는?

 

1) 가야금

2) 거문고

3) 슬

4) 아쟁


[2021년 23회 무대음향2급]

 

27. 가야금의 연주 기법 중 하나인 농현에서 '끌어내리거나 꺾는 소리'를 뜻하는 것은?

 

1) 요성

2) 퇴성

3) 추성

4) 전성


[2021년 23회 무대음향 3급]

답은 4번,


[2021년 23회 무대음향 3급]

 

3. 국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양의 오카리나와 비슷하고 속이 빈 복숭아 모양을 한 훈은 문묘제례악에 편성되는 악기이다.

2) 해금은 찰현악기로 분류되지만, 소리를 길게 끌 수 있다는 점에서 관악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3) 제례음악은 보통 대뜰 위에서 연주하는 등가와, 대뜰 아래에서 연주하는 헌가의 2개 악대로 편성된다.

4) 궁중과 상류 양반 계층에서 즐기던 기악 중심의 합주 음악을 풍류하고 하며, 거문고가 중심이 되는 대풍류와 향피리 중심의 줄풍류가 있다. 


 

 

 

 

https://youtu.be/cFzbiMwO6gY?si=8IcGzn9Q9ipQbbW4

 

가야금

가얏(가야국)고(현악기), 가야국의 현악기

 

좁고 긴 장방형 오동나무 공명판 위에 명주실로 꼰 12개의 줄을 걸고, 줄마다 작은 나무기둥을 세워 놓은 형태.

우리나라 현악기.

 

형태상 법금과 산조가야금 두 종류가 있다. 

아악 또는 정악에서 사용되는 가야금을 법금(풍류가야금)이라 하며, 민속악 특히 산조에서 사용되는 것을 산조가야금이라 한다.

법금이 원형이고 산조가야금은 19세기 말경 산조음악의 출현과 함께 일반화되어 법금보다 훨씬 크기가 작다.

 

상단을 오른쪽 무릎에 얹어 비스듬히 바닥에 놓은 상태로 오른손은 현침 쪽에서 줄을 뜯고 왼손으로 줄을 눌러 농현하여 연주한다.

 

농현 : 국악에서 현악기를 연주할 때에, 왼손으로 줄을 짚고 흔들어서 여러 가지 꾸밈음을 냄. 또는 그런 기법.

 

정악은 개방현 위주로 연주하지만, 산조에서는 줄을 눌러서 음을 내는 역안법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교가 훨씬 다양하다.

정악에서는 손끝으로 하는 농현 외에, 장지와 무명지로 줄을 껴 쥐고 소지와 엄지는 줄 위에 놓고 하는 농현도 사용되는데,

주로 음을 밀어 올리는 추성, 흘려 내리는 퇴성, 구르는 전성을 내는데 사용되고, 떨거나 눌러서 다른 음을 내려는 목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https://youtu.be/hPbuUFUgA0A?si=eOJZFE-ReuxDLHsO

 

거문고

 

거문(고구려)고(현악기), 고구려의 현악기

 

거문고는 5세기 이전에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현금, 현학금이라고도 불린다. 

16개의 괘가 달린 긴 사각형의 울림통 위에 명주실로 만든 줄 6개를 얹고 술대로 치거나 뜯어 올려서 연주한다.

 

 

 

 

https://youtu.be/gYdUVyQVDDs?si=MUWXwzFoMh1rNtEq

 

https://youtu.be/mV0KFblPjjQ?si=Djgfki4ej2WoGor5

 

 

25현의 현악기로 고려때 중국에서 전해져, 항상 금과 함께 편성되며 의식음악에 사용되었다. 

줄은 25현이며 그 중 가운데줄, 붉게 물들인 제 13현은 윤현이라 해서 사용하지 않는다. 

 

본율 12줄은 오른손으로 타고 청성 12줄은 왼손으로 타는데, 모두 집게손가락으로 동시에 떠서 쌍성을 나게 한다. 

우리나라에서 '금'과 '슬'은 율음에 맞추어 연습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알려졌다. 

('금'과 '슬'악기는 언제나 함께 연주되어 '부부 금슬이 좋다'라는 말이 유래되기도 했다. )

 

슬은 고려조에는 제향아악에서 등가, 헌가에 모두 쓰였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등가에만 사용되었다. 

지금도 문묘제례악의 등가에서 슬을 진열하지만, 연주는 하지 않는다. 

 

 

 

 

https://youtu.be/IHnjCQNXXOU?si=_UmJzEre2mm6j8fD

 

 

아쟁

 

한국의 전통 찰현악기.

중국 당나라때 등장한 악기로, 중국에서는 알쟁이라고 한다. 

 

연주법은 가야금과 비슷하나, 퉁기는게 아니라 현을 활대로 문질러서 연주한다. 

연주할 때 자세가 가야금과는 달리 무릎에 직접 얹지 않고 '초상'이라고 하는 받침에 얹어 연주한다.

정악아쟁은 웅장하고 큰 소리로 국악 합주에서 최저음을 담당한다. (콘트라베이스 역할)

활대는 개나리나무에 송진을 칠해쓰기 때문에 문지르는 소리가 다소 거칠다.

 

산조용으로 개량한 것이 산조아쟁.

산조아쟁은 민속음악 및 무용 반주용으로 개량한 것을 효시로 보고 있다. 

산조아쟁은 정악아쟁 크기의 2/3 정도, 현도 가늘어 농현이나 추성 퇴성 같은 꾸밈음 사용이 자유롭다. 

 

 

 

 

양금

 

한국의 전통 현악기, 서양에서 들어왔다고 해서 서양금이라 한다. 

국악기 중에서 유일하게 쇠줄을 가진 현악기.

네모진 통에 청사를 여러 개 매고 작은 대나무채로 친다.

소리가 맑고 청아하며 줄풍류에 주로 쓰이지만, 한국악기의 특징적인 농현을 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양금은 타현악기로 대나무 채로 악기의 현을 쳐서 소리를 낸다.

이러한 주법 때문에 특유의 트레몰로 주법이 가능하나, 농현이 안됨.

 

농현 : 국악에서 현악기를 연주할 때에, 왼손으로 줄을 짚고 흔들어서 여러 가지 꾸밈음을 냄. 또는 그런 기법.

 

양금은 줄의 개수가 많고 쇠로 되어 있어 음정 조율이 복잡,

연주 중 온도의 변화나 조명 등으로 인해 줄이 처질 경우 음을 다시 조율하기가 어려움.

 

 

 

 

 

 

중국과 한국의 고대악기, 한국에서는 고려 예종 때부터 연주된 관악기의 일종.

흙을 구워 만드는 관악기로, 동양판 오카리나라고 할 수 있음.

지금도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된다.

취구에 아랫입술을 대고 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낸다. 

지공은 앞에 3개, 뒤에 2개로 모두 5개가 있다.

 

 

해금

 

속칭 깡깡이라고도 불린다.

찰현악기.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의 당악과 향악연주에 사용되는 한편, 민속악 연주에도 널리 사용된다.

연주법이 관악기처럼 지속음을 내기 때문에 현악기이면서도 반드시 관악에 편성되어 왔다.

해금은 독주 악기로서 큰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20세기 이후 산조음악의 성행과 때를 같이하여 독주곡인 해금산조의 탄생을 보게 되었다. 

 

 

헌가

 

궁중의 의식음악과 제례음악 연주 시 당하에 위치하는 악대 (당하악)

당상에 위치하는 등가와 짝을 이룬다.

 

헌가의 악기 편성은 주로 관악기와 타악기가 중심

양률과 음려로 구성된 의식음악 중 양률을 맡아 연주한다. 

 

 

등가

 

궁궐의 섬돌 위와 같이 높은 곳에서 연주하는 악대 (당상악)

당하에 위치하는 헌가와 짝을 이룬다.

 

등가의 위치인 당상은 양의 위치이고, 헌가의 위치인 당하는 음의 위치로서 이들 두 위치의 악대가 함께 연주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오를 등 / 높은 당상으로 올라간다

노래 가 / 노래를 주축으로 한다

 

금이나 슬과 같은 현악기의 반주로 송시같은 가사를 노래해가는 것이 등가의 주된 기능이다.

등가에서는 노래를 위주로 하고, 헌가에서는 관악기와 타악기의 연주를 주축으로 한다. 

 

 

 

풍류 (풍류악)

 

바람 풍 / 물흐를 유

풍류는 조선 후기 양반과 중인계층들이 즐겼던 음악을 총칭하는 의미도 있고, 조선 후기 풍규의 문화 전통까지 포괄하는 넓은 의미도 있다.

풍류는 <가곡>, <시조> 등의 성악곡과 구별하여 <영상회상>, 거상악, <대풍류> 등과 같은 기악곡을 가리키기도 하고,

그것을 통합해서 양반 및 중인계층이 향유하던 음악을 통칭하기도 한다. 

 

 

대풍류

 

대나무 대

피리나 젓대와 같은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악기편성

향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북1 으로 삼현육각의 기본편성법과 같다.

 

 

줄풍류

 

거문고, 가야금, 해금 등의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풍류 (방중악)

줄풍류라 하면 일반적으로 거문고회상을 가리켜 말한다.

거문고나 가야금이 중심이 되는 관계로 거문고1, 가야금1, 해금1, 세피리1, 대금1, 장구1 로 단잽이 편성.

 

단잽이 편성을 하는 이유는 거문고나 가야금의 음량이 약한 관계로 이들과의 음량 조화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