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예술 전문인/무대음향 51

[화콘 2~4주차] 얼라인먼트, 튜닝, 마이킹

2주차+3주차+4주차 졸업프로젝트로 듣는 수업이 있다. 음향제작과와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같이 만들어 나가는 공연실습 수업이다. 화요일 수업이라 학생들 사이에서는 화요콘서트, 화콘이라고 부른다. 2~4주차 동안 배운 얼라인먼트, 튜닝, 마이킹에 관한 이야기들. 2주차 9월 14일 intro - Verse 1 - Pre Chorus - Chorus - Interlude - Verse 2 - Pre Chorus - Chorus - Bridge - Outro 라우드니스미터 유튜브와 디지털 방송 나가는 레벨 기준이 다르다. : 우리는 mixdown 원본을 보내는데 방송국에서 우리의 mixdown과 다른 오디오트랙들을 믹스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원본을 트리밍하게됨 >> 이를 해결하려면? 방송국에서 편집을 맞춘 후에..

Section 2. Frequency response

1. Frequency Response ? Black Box : 주파수 응답을 알아내고자 하는 장비 [그림2-1]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함. 사인파를 입력했을 때 그 사인파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데 이것이 주파수 응답이다. [그림 2-2] 주파수 응답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X축과 Y축을 중요하게 봐야한다. X축은 Frequency를 나타내는데 그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그 이유는 가로축이 Linear(선형적) Scale이 아니라 Log Scale이기 때문이다. 주파수 값에 로그를 취해서 그 값으로 X축에 눈금을 표시한 것이다. 2. 음향에서 로그가 필요한 이유 역치의 법칙 / 베버의 법칙 : 자극 변화의 절대적 크기가 아니라 상대적 크..

Section 1. What is Sound System

이 책에서 Sound Field : 소리가 존재하는 공간을 말함 Sound : 우리가 듣는 소리 Audio Signal : 소리를 표현하는 전기적 신호 1. Sound System ? [그림1-5] Input Transducer + Signal Processing + Output Transducer 를 통틀어서 Sound System이라고 한다. 먼저 소리는 Input Transducer 에서 음향적에너지(Sound)를 전기적에너지(Audio Signal)로 변환된다. 그 다음 Signal Processing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Pre Amp + Signal Processor + Power Amp가 포함되어 있다. Power Amp를 통과한 Audio Signal은 Output Transducer로 향..

7. Height Channels 높이 채널 -1

www.aes.org 를 참고하였습니다. 영어 문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한 부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7. Height Channels -1 숲을 거닐 때 그 환경에서 들리는 소리를 상상해보세요. 밑에서 들리는 자박자박 걷는소리, 옆에 있는 나뭇잎들이 서로 부딪히며 나는 사각거리는 소리, 머리 위로 저멀리 들리는 새소리 등 이 처럼 실제 공간에 있는 청취자들은 사방에서 들어오는 음향 정보에 몰입하게 됩니다. 사방에서 들어오는 음향 정보를 듣기 때문에 높이를 인지 할 수 있는 수직면의 음향 정보를 캡쳐하고 재현 하는 것은 몰입감 있는 오디오를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주변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Height Channels이 포함된 여러 멀티채널 사운드 캡처 및 재생 시스템이 개발..

QLab 오디오큐 세부설정

1. 큐랩 오디오큐 세부설정 1) Hotkey Trigger : 큐리스트와 관계 없이 하나의 큐로 재생하는 버튼 설정. 예를 들어 총소리 같은 경우 배우의 동작을 보고 맞춰서 반복적으로 소리가 나와야하니까 키보드 "1"에 총소리를 설정하면 키보드 자판 "1"을 누를 때마다 총소리가 재생되는 방식이다. 2)MIDI Trigger : MIDI신호에 따라 큐가 동작하도록 설정. 미디 키보드를 컴퓨터랑 연결해서 건반 마다 소리들을 설정해두면 건반을 누를 때 맵핑되어있는 소리가 플레이 된다. 3) Wall Clock Trigger : 시간을 설정하면 PC의 절대시간에 맞춰서 자동으로 플레이 된다. 주로 테마파크에서 일정한 시간에 소리를 재생시키기 위해서 많이 사용한다. everyday로 설정하면 큐랩이 커져있을 ..

무선 마이크의 이해와 활용

1. VHF와 UHF의 차이점 : 파장이 길어졌을 때 전파 또한 회절이 생기는데 파장이 긴 VHF의 경우 장애물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회절되어서 주파수가 도달하지 않는 범위가 적어진다. 같은 출력일 경우에 높은 주파수인 UHF보다도 전달 범위가 넓어지고 사각지대가 덜 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UHF의 경우 주파수 자체가 갖고 있는 폭이 넓기 때문에 고품질의 신호를 다채널로 전송하는 것에 유리하다. 단점은 파장이 짧아서 장애물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동일 출력에서 VHF보다 전달 범위가 좁아진다. 2. 혼변조 IMD (Intermodulation) : 혼변조란 전파가 트랜지스터와 같은 비선형 소자로 된 회로를 통과 할 때 두 개의 다른 입력 주파수 신호의 배음 주파수끼리 합과 차로 조합된 출력주파..

무대모니터의 구성 및 운용

1. 무대 모니터 시스템 구성시 고려해야하는 사항 : 마이크와 모니터 스피커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위치시키고 모니터 스피커의 충분한 음량을 확보하고 적절한 주파수 특성으로 전달되도록 조정한다. 피드백 제어를 위해 모니터 스피커에서 EQ를 많이 조정하다보면 음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드백 제어를 우선순위에 두지 않고, 평탄한 주파수 특성을 먼저 확보하는 것을 우선시한다. 모니터 시스템을 구성할 때는 출연자의 무대 동선을 고려하여 동선 내에서 고른 음량이 전달되도록 한다. 하우스 엔지니어는 하나의 믹싱으로 모든 관객들이 듣게 되지만 모니터 엔지니어는 출연자의 개인 요구에 맞는 믹스를 수행해야한다. 2. 무대 모니터 시스템의 구성요소 1) 모니터 스피커 1.1) 플로어 모니터 스피커 Floor moni..

실감음향 Immersive sound

1. 소리위치의 지각 - 수평방향 : 사람은 두 귀로 소리의 위치감을 인지하게 된다. 하나의 음원으로부터 두 귀로 소리가 도달할 때 어떠한 차이로 인해 위치를 인지하게 되는데 시간차이로 인지하는 것을 ITD (Interaural Time Difference) 라 하고, 두 귀 사이에서의 레벨 차이로 인지하는 것을 ILD (Interaural Level Difference) 라 한다. 일반적으로 고음은 ILD로 인지하고 저음은 ITD로 인지한다고 알려져있다. 그리고 외의의 모양과 구조를 통해서 소리의 음색 차이도 있다. 2. 소리위치의 지각 - 수직방향 : 수평방향은 사람들이 민감하게 인지하지만 같은 정면 방향에서 동일선상의 음원과 그 위에 위치한 음원를 구분할 때 어떻게 더 위에 있다고 인지하는 것은 복..

Open Architecture Audio DSP Processor

1. Open Architecture Audio DSP Processor : 오디오의 입출력 외에 필요한 기능을 사용자가 디자인하는 시그널 프로세서를 말한다. 이 프로세서로 실시간 제어는 어렵기 때문에 거의 고정되어서 사용하는 주로 테마파크나 회의실, 호텔 같은 곳에서 이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테마파크의 퍼레이드 때 퍼레이드 카 자체에서도 음악이 나오지만 페레이드 카가 지나가는 구간에서도 노래가 동기화 되어서 나오는데 이 또한 Open Architecture Audio DSP Processor를 활용한 것이다.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되어 PC에서 전용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기기간은 단테 오디오 네트워크로 연결이 되어서 분리된 공간과 공간, 기기와 기기를 한꺼번에 제어 할수 있다. 2. ..

라인어레이 스피커의 전기적 제어

1. 빔 스티어링 Beam Steering : 스티어링이 위아래 움직임을 뜻하는 단어인데 스피커를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스피커의 지향성을 상 / 하 방향으로 조정하는 기술을 말한다. 라인어레이 스피커가 일렬로 되어 있을 때 스피커의 지향은 기본적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을 텐데 딜레이나 위상차이를 조절함으로 소리의 방향을 정면 방향이 아니라 위아래로 조정하는 기술이다. 2. 빔 포밍 Beam Forming : 스피커를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서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라인어레이 스피커로 1층 객석과 2층 객석을 나누어서 소리를 보내는 방법들을 말한다. 360도 방향에서 전후좌우로 움직이며 원하는 타켓에만 소리가 집중되는 방식이다. 빔 포밍은 전후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