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폐의 시간적 가치와 이자율의 개념
현재의 100원이 내일의 100원 보다 가치있다.
근거는 ? 시차 선호 , 자본의 생산성 , 미래의 불확실성
화폐의 시간가치
: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의사결정은 현재 시점에서 이루어지나 이로부터 얻어지는 수익은 미래의 시점에서 실현됨
- 기업이 재무의사 결정을 할 때 화폐의 시간간치를 고려해야 함
-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미래의 현금보다는 현재의 현금을 더 선호함 > 유동성선호 (현금화속도)
> 현재의 현금흐름을 더 선호하게 되는 이유
1) 소비자들은 미래의 소비보다는 현재의 소비를 선호하는 시차 선호의 성향이 있음
: 인간의 생명은 유한하기 때문에 현재 소비가 가능한 현재의 현금흐름을 선호하게 됨
2) 미래의 현금은 인플레이션에 따르는 구매력 감소의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있음
: 인플레이션 하에서 미래의 현금흐름은 동일한 금액의 현재 현금흐름보다 그 구매력이 떨어지게 됨
3) 현재의 현금은 새로운 투자기회가 주어질 경우 생산 활동을 통하여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음
4) 미래의 현금흐름은 미래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항상 위험이 존재하게 됨
> 시장이자율
- 소비자들의 유동성선호를 반영하여 화폐의 시간가치를 나타내는 척도
- 시간이 다른 화폐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내는 것
: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또는 현재가치를 미래가치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됨
>> 시장이자율은 시차 선호, 인플레이션, 생산 기회, 위험 등을 반영하여 결정됨
>화폐
-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달리지는 것
- 현금흐름의 발생 시점이 다를 경우 화폐의 시간가치를 고려해야 함
예) 기업이 투자 결정을 할 경우 투자가치의 평가는 투자에 현금유출과 현금유입의 발생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동일 시점의 가치로 환산해 주어야 함
>> 현재 또는 미래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미래 일정 시점의 가치, 즉 미래가치 (FV) 로 환산해주어야 함
2. 이자율
: 화폐의 가격으로서 시간적 가치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함
이자율(기대수익률) = 무위험이자율((1)+(2)) + 위험프리미엄((3))
>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 원리금 상환에 따른 위험
- 전반적 물가 변동으로 인한 화폐 구매력 변동
>이자율의 3가지 구성요소
- 무위험이자율 : 인플레이션이 없는 상황에서 상환 위험이 전혀 없는 차입자에게 빌려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
- 상환 위험에 대한 보상률
- 예상되는 인플레이션율
> 이자 계산 방법
- 단리 : 원금에 대해서만 계산하는 이자
단리 = 원금 x 기간이자율 x 기간 수
- 복리 : 원금뿐 아니라 이자에 대해서도 계산하는 이자
2. 미래가치(FV)와 현재가치(PV)
> 미래가치 Future Value
- 현재의 일정 금액을 미래의 일정 시점의 화폐가치로 환산한 것
- 복리계산 과정 : 미래가치를 구하는 과정
예) 현재 100원을 연리 10%로 매년 복리계산되는 정기예금에 예금한다면 1년도 말에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
FV1 = PV + PV*r = PV(1+r) = 100 + 100 *0.1 = 110
> 현재가치 Present Value
- 미래에 발생할 일정 금액을 현재 시점의 화폐가치로 환산한 것
- 할인 계산 과정 : 현재가치를 구하는 과정
예) 연리 10%로 매년 복리계산되는 정기예금에 현재 얼마를 예금하여야 2년도 말에 100원이 되겠는가?
PV(1+0.1)^2 = 100원
PV = 100 / (1+0.1)^2 = 82.64원
3. 화폐의 시간적 가치 응용
> 영구연금
: 매 기간 말에 일정 금액이 무한히 발생되는 일련의 현금흐름을 의미함
예) 매년 말에 10만 원을 영구적으로 지급하는 영구채권의 현재가치를 구하라 (단, 연간 이자율은 10%이다.
PV(영구채권) = 10/0.1 = 100만원
> 연금
: 일정 기간 동안 일정 금액이 현금흐름이 계속적으로 발생되는 일련의 현금흐름을 의미함
3. 감채기금계수 (상환기금률)
>감채기금계수
: n년 후에 1원을 만들기 위해서 매기간 불입해야 할 적립금의 금액을 계산하기 위한 계수를 말함
- 연금의 내가계수와 역수관계에 있음
매기간의 연금액(불입액) = 미래가치 x 감채기금계수
> 저당상수
: 이자율이 r이고 기간이 n년이며, 원리금 균등 상환 조건으로 일정액을 빌렸을 때 매 기간마다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의 합계를 구할 때 이용하는 계수임
- 연금의 현가계수와 역수관계에 있음
'학점은행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경영학개론 : 경영계획에 대한 이해 (0) | 2022.03.18 |
---|---|
#3 경영학개론 : 경영환경의 이해 (0) | 2022.03.17 |
#1 재무관리 : 재무관리의 개요 (0) | 2022.03.13 |
#2 소비자 심리학 : 마케팅 전략 (0) | 2022.03.13 |
#1 소비자 심리학 : 소비자 행동 (0) | 202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