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Dante certification Level 1.

장순열 2024. 1. 6. 09:36

단테 자격증은 단테 공식 홈페이지에서 동영상 강의를 듣고 인터넷 시험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단테 시스템이 공연장이나 테마파크, 방송국 등에서 많이 쓰이고 있기 때문에 해당 자격증을 요구하는 곳들도 있는 편이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아주 친절하게 A부터 Z까지 알려주는 동영상 강의가 있으니 공부하기 좋다. 게다가 각 언어별 동영상을 제공하는데 한국어 버전도 있다. 이렇게 공식 홈페이지에서 각 언어별로 알려주는 것은 그 만큼 이 시스템이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라고 생각한다. 

 

 

 

Dante 자격증프로그램 | Audinate

Dante Certification Program Level 1 Level 2 Level 3 Dante AV Elective Dante Domain Manager Elective Get Dante Certified Dante Certification ProgramEssential in-depth AV networking training for every industry professional/certify Get Dante Certified The Dan

www.audinate.com

Dante Virtual Soundcard : 최대 64채널 지원, 라이브 녹음, 버츄얼 사운드체크

Dante Via : 컴퓨터에 설치된 앱이 Dante 장치가 됨

 

[Dante Controller]

 

무료 소프트웨어

실행하면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자동으로 검색함 > 장치 인식의 과정

장치 인식이 완료되면, 장치간의 신호 경로 지정을 시작할 수 있음

화면의 위쪽에 모든 송신장치 / 화면의 왼쪽에 모든 수신장치

+ 버튼을 누르면 장치별 채널 목록을 상세하기 볼 수 있음

원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교차점을 클릭하면 연결이 됨

 

아이콘의 의미

- 비디오 : 영상 신호

- 헤드폰 : 모노 오디오 신호

- 케이블 모양 : 시리얼통신,IR 또는 제어스트림을 의미함

 

비디오 송신장치와 비디오 수신장치의 교차점을 클릭하면 영상신호가 연결됨

> 그러나 영상의 오디오 신호는 자동으로 연결되지 않음, 오디오도 따로 연결해줘야 됨

**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가 Dante 네트워크에서 독립적인 경로 지정이 가능하다는 것!

이것은 더이상 비디오 신호에 오디오 신호를 합성 또는 추출하는 부가적인 장치 구성이 불필요할수 있다는 걸 의미함.

 

단순한 구성에서는 고급형 네트워크 스위치가 불필요하고 장치들을 바로 동작가능함


 

 

[네트워크 솔루션 VS 디지털 멀티 박스]

 

디지털 멀티 박스는 일반적으로 지정간 연결이며, 신호는 직렬로 연결된 장치에서 장치로 연결됨

 

디지털멀티박스(P2P전송)

- 신호는 케이블이 연결된 곳만 보낼 수 있음

- 신호 경로를 바꾸려면 케이블을 옮겨 다시 연결 해야 함

- 신호의 분배가 불가능

- 다른 종류의 신호와 케이블 공유 불가능

 

Dante 네트워크 솔루션

- 신호는 네트워크 상 어디로든지 보낼 수 있음

- Dante Controller를 사용하여 마우스 클릭으로 신호의 경로를 쉽게 바꿀 수 있음

- 네트워크 상으로 신호 분배가 가능함

- 다른 종류의 신호와 케이블 공유가 가능함

 

일관된 인프라 & 뛰어난 확장성

 

노트북에서 8채널MTR (멀티채널)을 콘솔로 연결한다고 했을 때, 

 

- 디지털 멀티 박스 & P2P 연결에서는 

노트북  - 오디오 인터페이스 USB 연결,

오디오인터페이스 - 디지털 멀티박스, 아날로그 케이블 연결,

디지털 멀티박스 - 콘솔 , CAT5 연결 로 

1개의 시그널 체인을 위한 3가지 종류의 연결 방식이 사용된다.

백킹트랙 재생을 위해 멀티박스의 채널이 소모됨, 

각 3가지의 다른 연결방식이 사용되기 때문에 하나로 통합되지 않아, 신호를 컨트롤 할 수 없음

 

- Dante 네트워크 솔루션을 사용하는 연결에서는

네트워크 스위치에 모든 장치가 연결됨,

공통된 네트워크 상에서 여러가지 기능 수행이 가능해짐,

Dante 오디오 , 믹서 콘트롤, 앰프 상태 모니터링 등이 가능

스테이지멀티박스의 채널을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에서 콘솔로 바로 멀티트랙이 연결됨

 

Dante란 무엇인가?

: Dante는 오디오/비디오 전송 프로토콜이 아닌 통합 솔루션입니다.

프로토콜은 일부 구성요소 이지만 표준화된 칩셋,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및 네트워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하여 범위를 확장합니다. 

: 자유로운 오디오 / 비디오 경로 지정 및 신호 분배

: 우수한 장치 간 호환성 (전세계적으로 백만 개 이상의 Dante 칩셋이 내장된 장치가 판매되어 어떤 장치와도 Dante로 연결이 가능할 정도로 호환성이 좋다.)


 

[디지털 오디오 기초]

 

소리는 공기가 진동해서 생성되는 것이다. 

진동 하면서 주변의 공기 분자를 밀어내고 또 옆의 공기 분자를 밀어내게 된다.

 

그래프에서 중심선이 평균기압으로 보고 그 위아래로 형성되는 음파변화를 알아볼 수 있다. 

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캡쳐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파형의 진폭을 읽을 수 있다.

캡쳐된 데이터를 보고 디지털 장치가 재생시점을 연결하여 음파를 다시 재생할 수 있겠다.

이렇게 캡쳐된 값의 모음을 샘플이라고 말한다.

 

24비트 : 24개의 이진수로 표현하는 스케일 진폭의 해상도

48kHz 샘플레이트 : 파형을 초당 48,000번 측정, 시간의 해상도 (주파수)

 

나이퀴스트 이론 : 샘플 레이트는 반드시 가장 높은 주파수의 최소 두배 이상이어야 한다.


 

[Dante Controller]

 

처음에 나오는 창 : Network View

장치이름을 더블클릭 하면 나오는 창 : Device View

 

장치와 채널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경로 지정 하기 이 전에 먼저 이름을 설정해야 한다. 

> 경로 지정하고 나서 이름을 바꾸면 경로를 찾지 못할 수 도 있음

 

Sample Rate 선택 > Device View > Device Confg

Pull up/down 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모른다면 ‘없음’ 으로 선택

> 이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는 영화를 텔레비전으로 또는 텔레비전을 다시 영화로 변환하는 경우임으로 방송산업에서 사용된다.


여러 개의 샘플레이트와 비트 심도 사용

 

샘플레이트와 비트심도(bit depth)

톱니바퀴에 빗대어 보았을 때 샘플레이트는 톱니의 갯수, 비트심도는 톱니의 깊이로 볼 수 있다.

비트심도가 같지 않더라도 상위 비트에서 일부를 삭제하거나, 하위비트에서 나머지를 0으로 채워서 맞출 수는 있음 (동작이 가능) 

그러나 샘플레이트가 맞지 않으면 톱니의 갯수가 맞지 않아 돌아가지 않는 것처럼 작동되지 않는다. (컨트롤러에서도 경로 지정이 되지 않음)

 

단테 컨트롤러에서 샘플레이트가 같은 장치를 샘플레이트를 클릭하여 확인이 가능함

 

서로 다른 샘플레이트의 두 장치가 디지털 쪽으로 직접 연결될 수 없다.

이 상황에서 디지털로 연결하려면 별도의 샘플레이트 컨버터를 사용해야 한다.

단테는 칩셋에서 이 기능을 수행하지 않지만, 제조업체에서 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샘플레이트 컨버터는 연결을 위해 각각의 수치로 실행되는 두 개의 디지털 포트가 적용된 장치임.

 

Dante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종류의 샘플레이트를 동시에 사용 가능

: 한개의 클럭 리더가 모든 샘플레이트와 프레임 레이트를 관리함

샘플레이트 컨버터 : 샘플레이트 변환이 가능한 2개의 단테 포트 탑재

(> 각 샘플레이트가 다른 시스템을 같이 연결해야한다면 샘플레이트 컨버터를 사용할수도 있고,

간단하게 하나의 샘플레이트로 통일 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선택에 따른 사용)


 

[밴드 폭 연산]

 

밴드 폭 : 오디오 데이터 + 네트워크 오버헤드

출발질 / 목적지의 IP 주소, 패킷 구성 데이터 등의 정보가 필요함

* 원칙 : 1Gb 네트워크에서 512채널 전송

중요사항 : 네트워크 밴드 폭을 100% 다 사용하지 말 것!

1Gb / 512채널의 경우도 네트워크의 80% 정도만 활용

 

같은 랜케이블을 사용하는데 다른 규격에 비해서 단테 시스템이 훨씬 더 많은 채널을 사용할 수 있음.

Dante > 512ch

MADI > 64ch

CobraNet > 32ch

 

* 원칙 : 샘플 레이트를 두배로 들리면 사용가능 채널은 절반으로 줄어듦 

(밴드 폭은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512채널 x 48kHz x 24bit : 590 Mbps (오디오 샘플) : 768 Mbps (오버헤드 포함 총 밴드 폭)

256채널 x 96kHz x 24bit : 590 Mbps (오디오 샘플) : 768 Mbps (오버헤드 포함 총 밴드 폭)

128채널 x 192kHz x 24bit : 590 Mbps (오디오 샘플) : 768 Mbps (오버헤드 포함 총 밴드 폭)


[네트워크 허브 VS 스위치]

 

- 네트워크 허브 : 입력 신호를 모든 포트로 복제하여 출력함.

512ch의 네트워크 입력이 들어가면 모든 포트로 같은 신호가 복제되어 출력됨

허브는 수 많은 ‘충돌 도메인’을 생성

두개의 데이터 패킷이 동시에 도착할 경우, 데이터는 충돌하게 되고 반드시 재전송 되어야 함

 

- 네트워크 스위치 : 입력 신호를 지정된 포트로만 출력함.

두개의 데이터 패킷이 한 포트로 몰렸을 때, 먼저 도착한 순서대로 처리.

(첫번째 도착 패킷 256ch 사용, 두번째 도착 패킷 256ch 사용)

그 결과 1Gbps 네트워크 내에서 수 천개의 채널을 처리할 수 있다.

스위치는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을 통해 조절


[비디오 기초] 

 

해상도

: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의 모음

: 이미지의 크기는 총 픽셀 수와 종횡비로 설명됨

 

격행주사 Interlaced : 홀수 열을 먼저 주사하고 그 다음 짝수열을 주사

(480i, 1080i), 화면 깜빡임을 방지 하기 위해 사용 되었음

VS 순차주사 Progressive : 모든 열을 순서대로 주사

(480p, 720p, 1080p, 4K)

 

*픽셀의 밝기와 채도 정보를 묶어 저장할 수 있고, HDR로 저장할 수 도 있음

Luma 루마 (밝기) / Chroma 크로마 (색상)

 

4:4:4 // 4:2:2 // 4:2:0

 

첫번째 자리 : 선행되는 픽셀의 수, 루마 정보는 각 픽셀을 개별적으로 캡쳐

두번째 자리 : 고유한 채도나 색상정보가 있는 첫번째 행의 픽셀 수를 표현

세번째 자리 : 고유한 색상정보가 있는 두번째 행의 픽셀 수를 표현

 

단테 AV는 세 가지 모드 모두 지원한다.

픽셀의 밝기와 채도 정보를 묶어 저장할 수 있고, HDR로 저장할 수도 있음

영상은 정해진 초당 프레임 수로 이미지를 투영하는 결과물 (fps)

 

- 프레임 레이트 frame rate

영화 : 24fps

TV(PAL) : 25fps

TV(NTSC) : 30fps (29.97fps) 

30fps의 초창기에는 흑백 티비였음, 

컬러로 넘어오면서 프레임 수를 살짝 낮추고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데에 씀


 

Q. 압축되지 않은 4K/60 영상의 용량이 10Gbps가 넘을 때, 

어떻게 1Gbps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나요 ?

>> Dante AV는 JPEG 2000 코덱을 사용

> JPEG 2000 코덱은 원본 손실이 없음 (인코딩, 디코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없음)

 

JPEG 2000 코덱 VS MPEG 코덱

- JPEG 2000 코덱 : 인트라 프레임 코덱으로 한번에 한 프레임 씩 엔코딩 한다

지연시간이 낮음, 오류는 한 프레임 내에서 발생

- MPEG 코덱 : 인터 프레임 코덱으로 여러 프레임을 묶어서 엔코딩 하는데, 

첫 번째 키프레임(전체 이미지를 엔코딩) 이후 정보는 차이가 있는 부분만 기록함

 

 

HDCP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 장치간 전송에서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보호한다.

저작권이 있는 영상물의 장비간 전송을 방지

DVD, 블루레이, TV 셋톱박스, 컴퓨터 영상 출력 단 등에 적용


 

[Dante 포트 & 네트워크 연결]

 

Dante 포트가 한 개만 있는 장치도 있고, 두 개가 있는 장치도 있음

두번째 포트는 ‘데이지 체인’ (스위치’ 모드)로 사용 가능

 

- 스위치 모드

: 두 개의 외부 포트와 내부 단테 연결을 의미하며 모두 내부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연결 됨,

따라서 어느 한 포트에 연결해도 문제 없이 내부 단테 포트에 연결된다.

 

* 포트 Primary / 포트 Secondary

둘 중 한 포트에만 연결되어도 내부 네트워크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다

스위치 모드에서는 두 개의 포트 중 하나만 네트워크 스위치로 연결하면 된다.

(이 경우 스위치에 두 포트 모두를 연결하면 안된다)

이중화 모드로 사용할 경우 두 포트가 별개로 작동하여, P포트가 죽었을 때 S포트로 사용이 가능

 

1. 네트워크 토폴로지 : 데이지 체인 (스위치 모드)

스위치 모드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장비를 체인처럼 연결할 수 있음

데이지 체인은 길이가 부분적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 해당 신호가 체인의 각 장치를 통과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임

 

2. 네트워크 토폴로지 : 스타 토폴로지

중앙에 네트워크 스위치가 있고, 네트워크 끝 점이 바깥쪽으로 방사되는 식

장치를 직렬연결 하는 대신 여러 장치들을 모두 네트워크 스위치에 직접 연결한다.

이 경우 다중 스위치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3. 네트워크 토폴로지 : 이중화

포트 Primary / 포트 Secondary 가 각 개별 IP로 독립적으로 작동,

같은 시스템을 두 개의 포트에 연결하여서 한 포트에서 연결 된 케이블의 이상으로 인해 신호가 끊기더라도 같은 연결이 되어 있는 두번째 포트로 인해 연결이 지속될 수 있음

(케이블이나 스위치 오류에서 안전하게 사용)

 

* 네트워크 스위치에 다른 장치를 연결하는 순서

컴퓨터, Dante 오디오 장치 등은 왼쪽 1번 포트 부터 차례대로 연결,

다른 스위치를 연결하여 확장시키는 트렁크라인은 오른쪽 끝 포트 부터 연결

 

* CONTROL 포트

: 장치 제어를 위한 연결, iPad로 믹서를 제어하거나, DSP설정, 빔 포밍 마이크 설정 등


[Dante Controller 활용]

 

- Dante 장치들은 숙지하기 어려운 숫자가 아닌 익숙한 ‘이름’으로 관리됨

: 각 장치에는 고유의 이름이 있고, 심지어 채널에도 가독성을 위해 이름을 붙일 수 있음

- 시스템 설정 시, ‘이름’을 먼저 정한 후 경로 지정을 실시 해야 함

: 경로 지정의 정보는 IP주소가 아닌 장치의 ‘이름’에 함께 저장됨

: 만일 경로 지정을 한 후 장치의 이름을 바꾼다면, 인식하지 못해 경고창이 뜰 수 있음


[레이턴시]

 

- 레이턴시 : 프로세싱이 완료될 때 까지 걸리는 시간

:디지털 시스템의 입력 부터 출력 까지 걸리는 시간

 

권장 설정 값

: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네트워크 스위치 ‘홉hop’ 당 0.1msec을 설정하는 것이 안전하게 전송 가능

: 경로지정이 된 두 장비의 레이턴시 설정 값이 서로 다를 경우, 둘 중 더 긴 레이턴시를 채택

: Dante Controller를 통해 모든 경로의 레이턴시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

수신장치의 Device View - Latency 탭

 

- 일반적인 Dante 레이턴시는 1.00msec이하, 최소값 0.25msec

: 이 레이턴시 값는 발표자나 연주자가 인지할 수 없을 정도의 낮은 값

: 일반적인 시스템의 안정적인 레이턴시 값은 스위치 홉 당 0.1msec

: Dante 송신기와 수신기의 레이턴시 값이 서로 다를 경우, 더 높은 값을 채택


[표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Dante]

 

Dante는 COTS를 사용함

COTS는 상업용 기성품을 의미 (Commercial off the shelf)

 

권장 스위치 규격 : 1Gbps 이상

- 1Gbit 속도 또는 그 이상

: 더 많은 채널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 확보

: 밴드 폭이 넓을 수록 장치 간 더 정교한 클럭 동기화 가능

 

권장 스위치 규격 : PoE

- Power over Ethernet (PoE) 

: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

: 장치는 적용된 규격을 준수, 필요한 전력만 소모함

: PoE 예산Budget : 스위치가 제공할 수 있는 PoE 전력의 총량

: 선로 전력 손실 대비 / 헤드룸 확보를 위해 20%. 비축함

 

권장 스위치 규격 : EEE 기능 비활성화

- 에너지 효율 이더넷 (비활성화 필수)

: 다양한 명칭 : 에너지 효율 이더넷 (EEE), 그린 이더넷

: 네트워크 스위치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 됨

: 데이터의 흐름을 방해,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하는 네트워크에는 부적합

: EEE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네트워크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동작하나 간헐적 문제가 있음

: 대부분의 스위치에는 EEE 기능이 적용되어 있으나, 대체로 비활성화 설정으로 변경 가능

(변경이 안되는 모델이라면 바꿔야 함)

 

뉴트릭 이더콘 Neutrik ether CON

- 뉴트릭 이더콘 커넥터는 일반적인 RJ45 단자에 견고한 캐논커넥터를 적용한 제품

- 일반 RJ45 케이블도 이더콘에 연결 가능

 

표준 네트워크 인프라 기반 솔루션 : 케이블

- CAT5e 또는 상위 규격의 케이블 사용

CAT5e (또는 그 이상) : 1Gbps 데이터를 100m 까지 전송

CAT5 사용 금지 ! : 100Mbps 속도 전용 규격

 

- 광케이블 사용 가능

광케이블은 원거리 전송에 적합

보통 300m 전송 가능한 제품부터 시작, 수십 킬로미터 전송 가능한 제품까지 존재

 

미디어 전송 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WiFi

WiFi는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신뢰도와 대역폭이 낮음

- Dante 오디오 / 비디오 스트림 지원 안함

- Dante Controller 제어 & 모니터링 지원

 

IP 설정 핵심 : IP 주소와 서브넷

동일한 서브넷이 있는 장치들은 근거리 통신망 내에서 직접 통신

서브넷 :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의 범위

원칙 : IP 주소의 끝자리에 0 이나 255를 사용하면 안됨

 

IP 설정 핵심 : 자동으로 IP주소 받기, Link Local

Dante 장치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DHCP, Link Local) IP 주소 설정


 

[컴퓨터와 Dante의 연결]

 

- Dante Virtual 사운드카드 (DVS)

: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상적으로 구현해주는 소프트웨어

- 단순하고 간편한 사용법 : 오디오 입출력 기능에 충실

- 사용 채널 수 조정 : 2x2 / 64x64까지 입출력 채널 수 조정 가능

- 낮은 레이턴시 : 레코딩 / 라이브 공연에 적합

 

- Dante Via

: :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상적으로 구현해주는 소프트웨어

- 컴퓨터의 모든 오디오 장치를 단테 오디오 장치로 변환하여 네트워크에 송출 할 수 있다.

- 컴퓨터 내의 프로그램 간에 오디오 신호 경로 지정을 구현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DAW에서 ZOOM으로 송출되도록 바로 신호 경로 지정을 할 수 있다.

- 프로세싱 & 신호 재분배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간 오디오 공유

Dante 로 입력된 신호를 USB 인터페이스로 출력

모든 오디오의 샘플레이크를 48kHz로 컨버팅

- Dante Virtual 보다는 레이턴시가 길다.

 

>> 한 개의 컴퓨터에 DVS와 Dante Via 둘 다 설치될 수 있지만,

한번에 한 소프트웨어만 구동 가능하다.

 

- Dante Application Library (DAL)

: 소프트웨어에 DAL을 통해 Dante 인터페이스 적용 가능

 

- USB / 블루투스 어댑터 (모바일 기기도 연결)

USB Type-C 2x2 I/O (24-bit 48kHz)

- 스마트폰 / 태블릿 연결 시 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