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37

[21.10.11] 장비점검

2021. 10. 11 월 오후 7시 내일 수업에서 재용오빠가 스피커 얼라인먼트를 어떻게 하는지 보여주기로 해서 그 전날에 먼저 화콘장에 시스템을 설치해두고 미리 스피커 얼라인먼트를 해봤다. 추가로 새로운 모니터 스피커와 앰프가 생겨서 측정을 해보기도 하고 이 전 학기에서 사용하면서 문제가 있었던 거 같았던 스플리터도 하나씩 체크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해강이한테 지금 화콘장에 있다고 보내준 사진인데 눈이 왜이렇게 지쳐보이냐고 했다;; 아닌데;; 아직 뭐 안했는데;; ^_ㅠ;; 현정이 어제 타투 새로 하고 와서 신남ㅋ >> 스피커 측정, 장비점검 Behringer ECM8000 측정용 마이크 Behringer ECM8000 2개를 나란히 바닥에 붙여놓고 맥북과 연결된 오디오인터페이스에 연결한다. 스피커랑 ..

아비드 이머시브 라이브 사운드 온라인 세미나 후기

2021. 09. 29 이머시브 라이브 사운드 주제의 온라인 세미나를 들었다. 아비드에서 소식지 메일 구독을 설정 해두었더니 매번 온라인 세미나가 열릴 때마다 이렇게 메일로 신청링크를 보내준다. 현장 세미나를 듣는다면 직접 소리도 들어보고 할 수 있는 것이 좋지만, 온라인 세미나라서 소리는 직접적으로 못 들어볼지라도 내가 있는 장소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큰 것 같다. 주최측에서 동시통역을 같이 진행해주는 세미나여서 어려움 없이 들을 수 있었다. 세미나 주제 - 모노, 스테레오, LCR 그리고 이머시브 스피커 구성의 장단점 - 객체 기반 믹싱 - Avid VENUE | S6L을 활용한 객체 생성 및 어쿠스틱 필드 배치 - 이머시브 DSP 프로세서를 통한 객체 원격 콘트롤 세미나를 들으면서 내가..

Section 3. The Decibel, Sound Level, and Related Items

1. The Decibel ? 데시벨은 신호의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dB = deci + Bell deci : 1/10 1기압 = 1,013 hPa Bell은 최초의 음향기기라 볼 수 있는 Alexander Graham Bell의 이름을 딴 것이다. 소리나 오디오 시그널은 전부 에너지를 전달하는 물리적 양이라고 볼 수 있다. Bel = log(W2/W1) Bel이라는 단위는 두 개의 물리적 에너지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그 앞에 log 를 씌워서 표현한 단위이다. 소리 또는 오디오 신호의 크기는 표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개념인데 소리나 전기적 오디오 신호의 크기는 그 에너지, 혹은 단위시간 당 에너지에 따라 결정이 되기 때문에 W 와트 라고 표현하는 물리적 양을 비교하게 된 것이다. 인간이 소리의 크..

[화콘 2~4주차] 얼라인먼트, 튜닝, 마이킹

2주차+3주차+4주차 졸업프로젝트로 듣는 수업이 있다. 음향제작과와 실용음악과 학생들이 같이 만들어 나가는 공연실습 수업이다. 화요일 수업이라 학생들 사이에서는 화요콘서트, 화콘이라고 부른다. 2~4주차 동안 배운 얼라인먼트, 튜닝, 마이킹에 관한 이야기들. 2주차 9월 14일 intro - Verse 1 - Pre Chorus - Chorus - Interlude - Verse 2 - Pre Chorus - Chorus - Bridge - Outro 라우드니스미터 유튜브와 디지털 방송 나가는 레벨 기준이 다르다. : 우리는 mixdown 원본을 보내는데 방송국에서 우리의 mixdown과 다른 오디오트랙들을 믹스 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원본을 트리밍하게됨 >> 이를 해결하려면? 방송국에서 편집을 맞춘 후에..

Section 2. Frequency response

1. Frequency Response ? Black Box : 주파수 응답을 알아내고자 하는 장비 [그림2-1]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함. 사인파를 입력했을 때 그 사인파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서 출력의 크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데 이것이 주파수 응답이다. [그림 2-2] 주파수 응답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이다. 그래프에서 X축과 Y축을 중요하게 봐야한다. X축은 Frequency를 나타내는데 그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그 이유는 가로축이 Linear(선형적) Scale이 아니라 Log Scale이기 때문이다. 주파수 값에 로그를 취해서 그 값으로 X축에 눈금을 표시한 것이다. 2. 음향에서 로그가 필요한 이유 역치의 법칙 / 베버의 법칙 : 자극 변화의 절대적 크기가 아니라 상대적 크..

Section 1. What is Sound System

이 책에서 Sound Field : 소리가 존재하는 공간을 말함 Sound : 우리가 듣는 소리 Audio Signal : 소리를 표현하는 전기적 신호 1. Sound System ? [그림1-5] Input Transducer + Signal Processing + Output Transducer 를 통틀어서 Sound System이라고 한다. 먼저 소리는 Input Transducer 에서 음향적에너지(Sound)를 전기적에너지(Audio Signal)로 변환된다. 그 다음 Signal Processing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Pre Amp + Signal Processor + Power Amp가 포함되어 있다. Power Amp를 통과한 Audio Signal은 Output Transducer로 향..

2. 프로세싱 첫 실행, 예제가 재밌다

2021년 8월 18일 수 이 책은 강의 교재로 활용되기에도 좋게 주차별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다. 이 책의 저자 이재민 교수님의 텍스트 수업을 듣는다고 생각하며 한 주차씩 이어나가보자. 📍 처음으로 실행을 해보자 각 명령어의 소괄호() 안에 설정값을 넣어주고 마지막에 세미콜론; 을 찍어 하나의 명령문을 완성한다 이 책에서도 프로그래밍을 모른다고 겁먹지 말라고 말한다. 모를 때는 일단 그대로 따라가보기! 스케치는 기본적으로 void setup()과 void draw() 두 함수로 이루어진다 void : 새로운 단락의 의미, 함수를 나타내는 키워드 프로세싱에서는 여러 명령문들이 모여 하나의 함수를 구성한다. void setup() 함수의 {} 중괄호 안의 명령문 :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처음 한 번만 실행 주..

게시판 2021.08.18

1. 안녕!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2021. 08. 18. 수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책을 참고하여 하나씩 공부하고 실습하는 과정을 이 티스토리에 연재하려고 한다. 이 두꺼운 책을 완독하는 그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파이팅! 📍 참고하는 책 책 이재민 저자 이 책에서는 아두이노, 프로세싱으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69가지 코딩 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이재민 저자의 홈페이지 http://jaeminlee.net Jae Min Lee Biography Jae Min Lee works on interactive media art that expresses the harmony of human technology and nature using light, motion, sound, and data. His work has shown at th..

게시판 2021.08.18

8.15 광복절 태극기 사진 모음

8.15 광복절 태극기 사진 모음 데니 태극기 (국립중앙박물관) 고종의 외교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Owen N. Denny)가 1890년 5월 미국으로 돌아갈 때 가져갔던 태극기로, 1981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되었다.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1945년, 독립기념관) 광복군 대원으로 활약한 문수열이 전우 이정수에게 선물 받은 태극기로, 태극기 흰 면에는 광복군 대원 70여명의 친필이 적혀 있다. 불원복 태극기 (독립기념관) 의병장 고광순 (1848~1907)이 일본군과 싸울 때 지녔던 태극기로, 상단에 불원복 (조국의 국권을 곧 회복할 것이다) 글귀가 새겨져 있다. 건국법정대학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1905년, 독립기념관) 6.25전쟁에 참전한 건국대학 법률과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서명한 태극기이..

게시판 2021.08.15

대학생 장학금 추천 ; 2021 유희춘 장학생 선발

안녕하세요 순열이의 연습장 입니다 :) 대학생 대상으로 신청해보시면 좋을 장학금 추천드립니다. 2021년 하반기 유희춘 장학생 선발 공모안내 인데요. 유희춘 장학회에서는 매년 상반기, 하반기 두번에 걸쳐서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도 성실히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장학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업, 자격증, 아르바이트, 봉사활동, 대외활동 등등.. 여러 일들로 이리저리 치이는 우리 대학생들 ㅠ_ㅠ.. 파이팅하시고 해당 되시는 분들은 장학생 선발에 신청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2021 하반기 유희춘 장학생 선발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 2021년 하반기 유희춘 장학생 선발 안내 📍 선발대상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도 성실히 공부하는 국내 대학교 (학부) 재학생 (전공무관) 휴학생과 외국인 유학생도..

게시판 2021.08.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