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 / Rock
Pop, Rock 장르의 경우 일반적으로 악기의 구성들이 네츄럴한 어쿠스틱 악기들이 아닌 전자악기로 주로 이루어졌다. 전자악기는 개별 악기의 소리를 가공해서 재조합하는 (믹싱) 방식들을 사용하게 된다. 악기들의 마이킹은 주로 클로즈 마이킹 방식으로 하고, 전자악기들은 직접 신호를 콘솔로 전달하는 Direct In 위주로 구성된다.
Pop / Rock 에서의 드럼사운드
악기소리 자체에서 원하는 장르와 특성에 따라 많은 프로세싱이 들어간 소리로 만들어낸다. 내츄럴한 드럼 사운드가 아닌 재가공할 드럼 사운드이기 때문에 마이킹에서 필요한 부분만 수음하기 위해 마이킹 방법들이 생겨났다.
킥드럼 Kick drum
마이크의 선택 기준
저역의 주파수 응답특성이 좋아야하고 킥드럼의 바깥쪽이나 안쪽에서 수음을 해야하기 때문에 높은 음압을 받아 들일 수 있도록 내구성이 좋아야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른 특정 중고역의 Boost가 되어야 한다.
필요한 소리의 주파수 대역대가 어느정도 정해져있는데 대중음악의 경우 저음 쪽의 댐핑감 63Hz부근, 고음 쪽의 어택감 2kHz~7kHz부근을 중점으로 본다.
1) Shure Beta 52
- 킥드럼용 대구경 다이내믹 마이크
- 낮은 저음 재생 한계와 저역 응답특성
2) Shure Beta 91
- 높은 허용입력의 킥 드럼용 바운더리 콘덴서 마이크
- 바운더리라고 할 수는 있으나 PZM마이크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PZM마이크는 해당 마이크의 이름을 뜻하는 것이고 마이크의 종류를 뜻하는 말은 아님) - 저역 재생 능력은 크게 뛰어나지 않지만 고음 특성이 뛰어남
- 단독 또는 Beta 52와 함께 주로 사용된다
3) AKG D-112
- 비교적 부드러운 음색의 킥드럼, 저음 악기용 마이크
- 저음쪽의 임팩트는 Shure Beta 52보다 약하다
4) EV RE-20
- 평탄한 주파수 특성, 저음악기 전용은 아니다
- 라디오 아나운서 마이크로도 많이 사용된다
- 킥드럼의 저음만 부각이되어 수음되는 것이 아니라 중고음의 하모닉스까지 수음이된다
킥드럼의 댐핑감만 뽑아내는 것이 아니고 킥드럼의 사운드컬러를 배음들까지 충분히 살려서 만들고자 할 때 어울린다
댐핑감이 중요한 킥드럼 소리를 뽑아내고 싶을 때는 어울리진 않는 마이크
5) Sennheiser MD421
- 중저역의 탄탄한 사운드 컬러가 장점이다
- 재즈 드럼의 킥드럼 마이크로 선호된다
- 아주 낮은 저음의 수음은 부족한데 low mid (100~200Hz정도) 중저음의 두터운 느낌을 잘 살려내는 마이크
스네어 드럼 Snare drum
마이크 선택 기준
- 저역에서 고역까지 폭넓은 주파수 특성
- 중저역의 정확한 응답과 임팩트
1) Shure SM 57
- 마이크의 위치
1개 사용 - snare 상부
2개 사용 - snare 상부, 하부
하부에도 마이킹할 경우 스네어 드럼 사운드에 top end의 선명함을 더할 수 있고, phase reverse가 필요하다 - mid ~ high-mid 대역이 단단하게 배치가 되어 있어서 소리를 만들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 스네어드럼의 림(가장자리) 부근에서 2인치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바라보게 할 것인지 정하는 것이 기본 시작
탐탐 Tom Tom
마이크의 선택 기준
- 중음역을 중신으로 한 정확한 응답 특성
- 크기 및 부착의 편의성도 중요시한다
- 마이크의 위치는 tom으로 부터 거리에 따른 저역 응답에 주의한다
- 탐탐에 부착하는 clip-on 방식의 소형 콘덴서 마이크가 다수 출시되었다
1) DPA4099
2) Shure Beta 56
3) Shure Beta 98D/S
4) Audix D2, D3
5) AKG C418
6) Sennhieser MD421
하이햇 Hi hat
마이크의 선택 기준
- 평탄하고 정확한 고음역 특성
- 마이크의 위치는 Hihat의 위 쪽에서 아래를 바라보고, 가장자리와 bell의 사이를 지향한다
- 가급적 스네어 드럼의 직접음이 유입되지 않는 각도로 한다
- 주파수 응답의 폭이 넓은 마이크군을 사용한다
- 8~12kHz사이의 고음역 특성이 음색에 큰 영향을 준다
1) AKG C451, C480
2) Shure SM81
오버헤드 및 심벌 Overhead / Cymbal
마이크 선택 기준
- 고음역을 우선으로 한 전체 주파수 특성
- 마이크의 위치는 Overhead로써 드럼 킷 위에 설치한다
- 개별 Cymbal에 사용하기도 한다
- 마이크는 주로 평탄한 특성의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한다
- 다양한 단일지향성 콘덴서 마이크를 폭넓게 사용한다
1) AKG C414, 451
2) Shure SM81
3) Neuman KM184
Electric Bass
Bass와 이펙터 그리고 앰프의 조합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소리를 듣는다. 연주자와 장르에 따라 앰프는 단순 확성에 가까운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어느 지점에서 수음 할 것인지 결정해야한다.
집음방법
Direct Box의 사용
연결 : Bass > DI > Amp
앰프에 내장된 direct out의 사용
Mic의 사용
Speaker Cabinet에 Miking
중고역 드라이버의 위치에 따른 mic의 위치를 조정한다. Bass 스피커 캐비닛이 2-way 이상인 경우에 2개의 mic를 사용하기도 한다
1) AKG D112
2) EV RE 20
3) Shure Beta 52, 57
4) Sennheiser MD421
Electric Guitar
guitar와 이팩터 그리고 앰프의 조합에 의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소리를 듣는다. Speaker cabinet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마이크로 수음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마이크의 위치는 상태가 좋은 Speaker cabinet을 선택하여 speaker cone의 중앙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고음역이 감쇠되는 것을 감안 하여 마이킹한다. 마이크를 선택할 때는 중음역~중고음역 특성이 가장 중요하며 고음역의 적절한 감쇠가 있는 것으로 고른다.
1) Shure SM 57
2) Sennheiser e609, 906, MD421
3) Audio Technica AT4050, 4030
Keyboards
keyboard또는 음원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라인 입력으로 연결한다. 연결 방법은 여러 대의 keyboard를 사용할 시에는 sub mixer에 입력 후 콘솔로 연결하고, DI를 사용하여 개별 연결 할 시에는 각 출력 신호를 DI를 통해 콘솔로 각각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Acoustic Guitar
일반적으로 픽업이 장착된 기타의 출력을 (TS 출력) DI를 통해 입력 받는다. 어쿠스틱 기타 앰프가 모니터링과 DI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무대 예술 전문인 > 무대음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대예술전문인 / 무대음향] 공연장 음향 장비 (0) | 2021.05.01 |
---|---|
무선시스템 구성 (0) | 2021.04.28 |
라이브 MIX와 스튜디오 MIX에 대하여 (0) | 2021.04.21 |
Smaart에 대하여 (0) | 2021.04.21 |
d&b ArrayCalc 설치 및 사용에 대하여 (0) | 2021.04.20 |